교회력을 따르는 것은 마치 관객 참여 연극(immersive theater)을 경험하는 것과 같습니다. 금식과 축일, 의식, 전례를 통해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야기에 참여합니다. 강림절에 우리는 오실 왕을 갈망하고 고대합니다. 성탄절에 우리는 말구유에 아기를 눕히고서는 성육신에 참여합니다. 사순절 동안, 우리는 이마에 재를 바르고 죄와 죽음을 기억합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가장 중요한 순간, 곧 부활절을 위해 준비된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에게 부활절은 월드시리즈, 교향곡의 크레센도, 연극의 절정과도 같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일 년 내내 기다리고 기다렸던 순간입니다. 그러나 올해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게임이 마지막 이닝에 취소되었습니다. 호른 섹션이 협주곡 연주회 중에 자리를 떴습니다. 제3막에서 극장에 불을 났습니다.

성직자로서 이 사실이 너무나 안타깝습니다. 물론, 우리는 온라인 예배를 드릴 것이고 말씀이 선포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함께 모여 드리는 예배와 같을 수는 없습니다. 분명히 놓치는 것이 있을 겁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이 교회력과 예배를 통해 부활절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닙니다. 이 명백한 사실은 결코 달라지지 않습니다. 예수께서 죽은 자들 가운데서 살아나셨습니다. 그리고 비록 온 세상이 모두 이 사실을 인정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이 확정된 사건을 중심으로 시간은 돌아갈 것입니다. 부활의 진실은 그 누구도 손댈 수 없습니다. 이것의 고유한 의미에 우리가 보탤 것이라고는 지극히 하찮은 것뿐일 것입니다. 우리의 도움 없이도 이것은 그 자체로 존재합니다. 기독교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그것은 내가 있든 없든 사실입니다. 이 사실은 나의 뜨거운 믿음으로도, 아니면 나의 심오한 회의론으로도 털끝만큼도 바꾸지 못합니다.

신자들도 회의론자들도 기독교 이야기의 주된 가치가 개인적이고 주관적이며 자기표현적인 것인 양 이 이야기에 접근할 때가 있습니다. 우리가 신앙을 가지는 이유가 그것이 우리를 위로하거나 우리에게 살아갈 수완을 주거나 소속감을 주기 때문일 때가 있습니다. 아무리 그렇지 않은 것처럼 행동하더라도, 우리는 부활을 상징이나 은유로 축소합니다. 부활절을 우리에게 영감을 주는 전통쯤으로 여깁니다. 최선의 나로 갱신하고 나의 삶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게 해 주는 그런 날쯤으로 여깁니다.

그런데 세계적 대유행병의 현실—환자와 시신으로 넘쳐나는 병원과 영안실, 무너지고 있는 세계 경제, 너무나 취약한 우리의 삶—이 우리에게 부활에 대한 감상주의를 버리라고 요구합니다. 플래너리 오코너의 말입니다. “그것이 상징이라면, 지옥에나 가라!”

위기가 최고치에 달했습니다.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휩쓸며 혼란과 파괴, 죽음을 불러오고 있는 이때, 부활이 세상의 모든 희망—현실의 중심—이거나, 아니면 기독교가 우리 시대에 쓸모가 없다는 것이 고통스럽지만 분명합니다.

“부활의 사건을 하나의 비유나 이전 세기에 일어났던 희미해진 맹신쯤으로 여기며 은유, 유추, 회피, 초월로 하나님의 이름을 조롱하지 마십시오.” 존 업다이크는 ‘부활절 일곱 연시’에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예수가 “몸으로 부활하지 않았다면, 그의 몸의 모든 조직이 다시 살아나지 않았다면, 교회는 멸망할 것입니다.”

내가 그리스도인이 된 것은 세상이나 현재의 고통에 관한 모든 질문에 해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 아닙니다. 그럴 수는 없습니다. 내 삶을 잘 살기 위한 훌륭하고 일관된 도덕적 기준이라고 생각하기 때문도 아닙니다. 그렇다고 내가 어린 시절 자라온 방식 때문이거나 찬송가가 좋아서도 아닙니다. 정의롭게 살고 올바로 투표하는 법을 가르쳐주기 때문도 아닙니다. 내가 그리스도인인 것은 내가 부활을 믿기 때문입니다.

2천여 년 전 조용한 일요일 아침에 예수께서 죽음에서 살아나셨으면, 모든 것이—우리의 믿음, 우리의 윤리, 우리의 정치, 우리의 시간, 우리의 관계가 바뀝니다. 그것이 사실이면, 예수의 부활은 전 우주를 통틀어 가장 결정적인 사건이자 역사의 중심이 되는 사건입니다. 부활은 죽음이나 파괴, 폭력이나 바이러스보다 궁극적으로 더 진실이며 더 실제적인 사건입니다. 부활은 또한 우리가 축하하는 부활절보다도 더 진실입니다.

예수께서 부활하신 역사적인 그날 아침, 부활에 대한 기대는 그 어디에도 없었습니다. 팡파르도 울리지 않았습니다. 모여 승리의 노래를 부르는 교회도 없었습니다. 종도 울리지 않았습니다.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몇 명의 여인들만이 예수의 시신을 살피려고 왔을 뿐입니다. 갈 곳 잃은 제자들은 슬픔과 두려움에 빠져 있을 뿐이었습니다. 예루살렘과 세상은 전과 다름없이 돌아갔습니다. 해는 떴고, 사람들은 들에 나가 곡식을 거두거나 우물에서 물을 길었고, 아침을 먹었습니다.

온 우주가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누구도 그 사실을 몰랐습니다.

이번 일요일도 그날처럼 그렇게 조용할 것입니다. 미국인의 거의 80퍼센트가 집에 머물도록 권고를 받았습니다. 부활 주일부터 성령강림 주일까지 50일 동안 계속 그래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결국 부활절 아침이 중요했던 것은 결코 성도로 가득 찬 예배당 때문도, 찬송이나 축하 행사 때문도, 예식이나 예전 때문도 아니었습니다. 첫 부활절의 조용함이 그 무덤을 막았던 돌을 치우는 데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았듯이, 오늘 우리 지역 교회들의 닫힌 문도 부활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합니다.

무료 뉴스 레터

뉴스레터 보기

이 부활절에 가장 중요한 우주적 사실은 사망자 수, 빈 예배당, 또는 환자로 넘쳐나는 병원이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우주적 사실은 빈 무덤입니다. 부활은 사랑이 죽음을 이김을, 약함이 강함을 물리침을, 기쁨의 화관이 슬픔의 재보다 오래감을 증명하는 유일한 증거입니다. 예수께서, 그 살과 손가락과 뼈와 피로, 실제 역사 속에서 부활하셨다면, 우리에게는 소망이 있습니다. 우리의 애통이 위로 받을 것이라는, 죽음이 마지막이 아닐 것이라는.

티쉬 해리슨 워렌은 북아메리카성공회 교회의 사제이자 펠리컨 프로젝트의 회원이며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에 있는 Church of the Ascension에서 섬기며 글을 쓰는 작가입니다. 그녀는 또한 「오늘이라는 예배」(Liturgy of the Ordinary)와 곧 출판 될 Uncommon Ground: Living Faithfully in a World of Difference의 저자입니다.

번역 CT코리아 박주현 | Translated by Juhyun Park of CT Korea

[ This article is also available in English and Português. See all of our Korean (한국어) coverage. ]